[2025년 1월 31일(금)] IT 주요 소식
📰 최신 AI 및 기술 동향
1. 📱 삼성MX·네트워크, 작년 영업익 10.6조…갤럭시AI로 반등 노린다
📄 요약
삼성전자는 모바일경험(MX) 사업부와 네트워크 사업부의 작년 영업이익이 10조6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5%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반도체 시장 둔화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다만, 갤럭시S24 시리즈의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으며, 태블릿과 웨어러블 기기의 판매량도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25 시리즈를 포함한 프리미엄 제품군 확대와 갤럭시 AI 고도화를 통해 실적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 핵심 포인트
- AI 기반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 확대를 통한 실적 개선 전략
🧠 정보관리기술사 관점
- AI 스마트폰 시장 성장과 프리미엄 제품군 확대 전략 검토 필요
🔍 관련 토픽
- 🤖 온디바이스AI: "디바이스 자체에서 AI 연산을 수행하는 기술."
- 📑 요구공학: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관리하는 기법."
2. 🌐 美 AT&T도 구리선 걷어내고 인프라 전환 가속
📄 요약
미국 AT&T는 기존 구리선을 제거하고 광케이블 및 5G 고정형 무선 접속(FWA)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연방통신위원회(FCC) 승인을 받아 기존 음성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중단하며, 구리망 운영 종료를 통해 비용 절감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8억5000만 달러 규모의 시설 매각과 리스백을 진행했으며, 2025년까지 220억 달러를 투자해 모바일 및 광섬유 네트워크 확장을 지속할 계획이다.
🌟 핵심 포인트
- AT&T의 구리선 제거 및 광섬유·5G 인프라 확장 전략
🧠 정보관리기술사 관점
- 기존 유선 인프라의 비용 절감 효과 및 무선·광케이블 통신 기술 전환 검토 필요
🔍 관련 토픽
- 📶 5G특화망: "특정 지역 또는 산업에 최적화된 5G 네트워크 구축 기술."
- ☁️ 클라우드서비스전환및보안: "클라우드 인프라로의 전환 시 보안 요구사항 및 해결 방안."
3. 🤝 KT, AI-RAN 얼라이언스 합류
📄 요약
KT가 글로벌 AI 네트워크 연합체 'AI-RAN 얼라이언스'에 합류했다. AI-RAN 얼라이언스는 무선접속망(RAN)에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단체로, 소프트뱅크, 엔비디아,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이 참여하고 있다. KT는 AI 기반 네트워크 최적화 및 새로운 융합 서비스를 발굴하며, 모바일에지컴퓨팅(MEC) 등 B2B 서비스에도 AI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 핵심 포인트
- AI 기반 네트워크 최적화를 위한 글로벌 협력 강화
🧠 정보관리기술사 관점
- AI를 활용한 무선망 최적화 및 네트워크 패러다임 변화 분석 필요
🔍 관련 토픽
- 🏗️ AI파운데이션모델: "AI 서비스의 기초가 되는 대규모 학습 모델."
- ☁️ 클라우드컴퓨팅: "인터넷을 통해 IT 자원을 제공하는 기술."
4. 🚫 美, 中 딥시크 'AI 개발에 수출 금지 반도체 활용' 확인한다
📄 요약
미국 정부는 중국 AI 기업 딥시크가 수출 금지된 미국산 AI 반도체를 활용했는지 조사하고 있다. 딥시크는 미국 주요 IT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AI 모델을 개발했으며, 일부 반도체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을 거쳐 중국으로 밀수된 정황이 포착됐다. 미국 상무부는 추가 조사를 통해 AI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
🌟 핵심 포인트
- 미국의 AI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가능성 및 AI 주도권 경쟁 심화
🧠 정보관리기술사 관점
- AI 반도체 수출 규제와 글로벌 AI 시장 경쟁 구도의 변화 분석 필요
🔍 관련 토픽
- 🔬 반도체산업의가치사슬: "반도체의 생산, 유통, 활용 과정에서의 가치 흐름 분석."
- 🔐 머신러닝보안취약점: "AI 및 머신러닝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과 대응 기술."
5. 🌏 中 '저비용 AI' 딥시크 출현 충격파…美 실리콘밸리 “AI의 스푸트니크”
📄 요약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고성능 칩 없이도 챗GPT 수준의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하면서 미국 IT 업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딥시크는 엔비디아 H800 칩을 활용해 AI 모델을 훈련했으며, 기존 미국 기업들의 개발 비용보다 훨씬 낮은 비용으로 AI를 구현했다. 미국 정부는 AI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나, 딥시크의 사례는 중국의 AI 기술 발전을 막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핵심 포인트
- 중국 AI 기업의 저비용 AI 개발 성공과 글로벌 AI 경쟁 구도 변화
🧠 정보관리기술사 관점
- AI 반도체 규제 효과와 오픈소스 기반 AI 개발 동향 분석 필요
🔍 관련 토픽
- 📝 생성형AI: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
- 🏗️ AI파운데이션모델: "AI 서비스의 기초가 되는 대규모 학습 모델."